소아청소년 비만 관리
·
메디컬 노트
비만의 증가는 의학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비만한 소아 및 청소년은 정상 체중아에 비해 성인이 되었을 때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고 어릴 때부터 비만 관련 합병증이 발생하여 일생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의료 단계에서 소아 및 청소년의 비만을 발견하여 적절하게 평가하고 근거 있는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청소년 비만의 진단 소아청소년 비만의 임상적인 정의는 동일 연령, 성별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95백분위수 이상이다. 2세 미만에서는 체질량지수가 아닌 신장별 체중 (weight for height) 성장도표를 사용하여 95백분위수 이상일 때 과체중으로 분류한다. 소아청소년 비만평가는 국가별 성장곡선을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