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접촉 소아청소년 검진
·
메디컬 노트
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결핵 환자가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유병률은 여전히 후진국 수준이다. 인구 10만 명당 결핵 환자가 150명 이상이면 '결핵 고위험 국가'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으로 75-79세 유병률이 10만 명당 192명, 80세 이상 유병률은 10만 명당 308명에 달한다. 결핵 확진자와 밀접히 접촉한 자는 결핵감염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소아청소년 인구에서 결핵 검진은 연령에 따라 그 절차가 다소 차이가 있다. 신생아는 선천 결핵 여부를 확인하고 선천 결핵이 아니면 일단 INH 10mg/kg를 복용하면서 3개월 후에 TST를 시행한다. 결과가 음성이면 약제 복용을 중단하고, 양성이면 흉부 X선 검사 등으로 활동성 결핵을 확인 후 결핵 치료 혹은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한다. 생..
PPD 시약 근육주사 하면
·
메디컬 노트
투베르쿨린 결핵 피부 반응 검사 시약을 근육에 주사했다면? 결핵 피부반응검사 시약 PPD는 피내주사가 원칙으로 정맥, 근육, 또는 피하주사를 하면 안된다. 그러나 간혹 바늘이 깊게 들어가 피하조직이나 근육에 시약을 주사하는 실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피부반응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위음성으로 판정될 수 있다. 만약 실수로 PPD 시약을 근육주사로 주입했다면 어떻게 될까? NWT Tuberculosis Manual의 Section 4: TB Screening 부분을 보면 아래와 같은 설명이 나온다. If the TST is accidentally given as a subcutaneous or an intramuscular injection, this should not pose a ser..